최남섭, 전봉희. (2021). 이란 하우라만 지역의 돌 벽체 건축과 지붕형식. 대한건축학회논문집, 37.0(3), 121-132. | 최홍란, 전봉희. (2021). 중국 국가고고유적공원(國家考古遺址公園)의 체계와 공간적 특징. 대한건축학회논문집, 37.0(6), 53-64. | 성나연, 전봉희. (2021). 1930년대 금강산 국립공원 추진 계획의 경과와 의미. 대한건축학회논문집, 37.0(8), 101~112. | 박상연, 전봉희. (2020). 88 서울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결정 과정과 도시 경관 이미지 전략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6.0(1), 81-92. | 허유진, 전봉희. (2020). 고종 연간 주위퇴칸식 비각의 출현과 의의. 건축역사연구, 29.0(2), 53-62. | 이수연, 전봉희. (2020). 하나조노 사키치의 활동을 통해 본 1920-30년대 청부업의 변화. 건축역사연구, 29.0(2), 7-18. | 성나연, 전봉희. (2020). 국립서울대학교의 종합화와 캠퍼스 계획론의 도입, 1946-1975. 대한건축학회논문집, 36.0(6), 107-118. | 최남섭, 전봉희. (2020). 19-20세기 초 쿠르드 부족장의 검은 천막 . 대한건축학회논문집, 36.0(7), 89-98. | 허유진, 전봉희. (2020). 삼국사기 옥사조의 비첨(飛簷) 재해석. 대한건축학회논문집, 36.0(9), 63-70. | 이수연, 전봉희. (2020). 철도공사를 통해 본 대한제국기 청부업의 초기적 형태. 건축역사연구, 29.0(5), 17-28. | 김지은, 김동욱, 전봉희. (2020). 계획칸 모듈을 통한 BIM 기반 신한옥 설계 방법론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, 36.0(12), 129-140. | 김성하, 전봉희. (2019). 2000년 이후 서울의 신축한옥에서 보이는 건축적 특징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5.0(9), 109-117. | 박일향, 전봉희. (2019). 1950-1970년대 도시미화를 위한 서울 간선도로변 고층화제도의 사적 고찰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5.0(10), 41-52. | 배창현, 전봉희. (2019). 조선 중기 툇마루의 도입과 상부가구의 구조적 대응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5.0(11), 117-128. | 김지헌, 전봉희. (2019). 19세기와 20세기 초 염불당(念佛堂)의 수용. 건축역사연구, 28.0(6), 31-42. | 안소현, 전봉희. (2019). 조선후기 궁실건축에 사용된 격식기법의 유형과 변천. 건축역사연구, 28.0(6), 43-54. | 서효원, 전봉희. (2018). 화엄사 각황전 수리공사를 통해 본 「보존령」제정 이후 일제강점기 보물 건조물 수리 공사의 현장운영과 수리방침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4.0(1), 41-52. | 배창현, 전봉희, 허유진. (2018). 서울 종로 주변 발굴유적에서 보이는 조선 중·후기 건물지의 평면형식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4.0(5), 79-88. | 허유진, 전봉희, 장필구. (2018). 덕수궁 정관헌(靜觀軒)의 원형, 용도, 양식 재고찰. 건축역사연구, 27.0(3), 27-42. | 권아송, 전봉희. (2018). 조선 전·중기 주택의 ㄱ자 꺾음부에서 공간기능에 따른 공간형식의 변화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4.0(7), 79-88. | 김지희, 전봉희. (2017). 세심대 일원의 변천과 사도묘(思悼廟)의 건립과정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3.0(1), 84-94. | 서효원, 전봉희. (2017).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개심사 대웅전 수리공사의 체계와 경과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3.0(7), 91-100. | 도연정, 전봉희. (2017). 한국 아파트 평면에서 LDK 형성과정의 특성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3.0(9), 61-70. | 배창현, 전봉희, 정기철. (2016). 16세기 동호독서당의 복원 추정과 건축적 성격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2.0(2), 89-101. | 도연정, 전봉희. (2016).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1920-30년대 부엌담론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2.0(7), 29-36. | 허유진, 전봉희. (2015). 석고전의 마지막 이건과 소멸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1.0(4), 151-160. | 장필구, 전봉희. (2014). 1917-1921년 창덕궁 대조전 재건공사에 적용된 조선식 목조 지붕틀과 방화계획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0.0(5), 153-164. | 전봉희, 박일향. (2014). 20세기 사직단 영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역사적 제도주의적 해석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30.0(12), 185-196. | 장필구, 전봉희. (2013). 고종 장례 기간 신선원전의 조성과 덕수궁·창덕궁 궁역의 변화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9.0(12), 197~208. | 김정현, 장필구, 전봉희. (2012). 한옥의 조형원리를 반영한 파라메트릭 모델링 방법론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8.0(2), 105-112. | 권용찬, 전봉희. (2012). 서구 모더니즘 건축의 효율성 제고 논의가 1910년 이후 1970년대 초까지의 한국 관영주택에서 보이는 양상 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8.0(10), 203-214. | 권용찬, 전봉희. (2012).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의 공영 공동주택에 보이는 공유주택화 경향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8.0(11), 235-242. | 장필구, 전봉희. (2012). 풍경궁과 화성행궁의 자혜의원 전용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8.0(12), 239-246. | 배형민, 우동선, 김봉렬, 전봉희, 이규철. (2011). 1990년대 이후 건축역사와 건축설계교육의 관계에 대한 연구-김승회와 최욱의 교육배경과 작업을 사례로-. 건축역사연구, 20.0(3), 39-57. | 이규철, 전봉희, 배형민, 우동선, 김봉렬. (2011). 5년제 건축학 교육체제의 건축역사교육 현황과 실험적 대안 프로그램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7.0(7), 131-142. | 서효원, 전봉희. (2011). 전통목조건축물 중도리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7.0(9), 201-211. | 주상훈, 전봉희. (2011). 1910-20년대 관립 자혜의원의 계획의 시기적 특징과 변화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7.0(11), 239-248. | 권용찬, 전봉희. (2011). 근린주구론이 일제강점기 서울의 주거지 계획에 영향을 준 시점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7.0(12), 189-200. | 주상훈, 전봉희. (2010). 1930-40년대 관립사범학교의 본관 계획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6.0(5), 231-240. | 주상훈, 전봉희. (2010). 일제강점기 사법시설의 계획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6.0(6), 187-198. | 백윤진, 전봉희. (2010). 1905~1945년에 지어진 일본관사의 온돌수용 - 국가기록원 소장 일제시기 관영건축도면을 중심으로-. 한국주거학회논문집, 21.0(6), 1-9. | 김지홍, 전봉희. (2010). 1970년대 ‘한국민속촌’ 건립과정과 시대적 의미 고찰. 한국주거학회논문집, 21.0(6), 31-41. | 주상훈, 전봉희. (2009). 일제강점기 경성부 관립 중·고등교육시설의 정비·신축과정과 배치계획의 특성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5.0(5), 201-212. | 김정현, 김하나, 전봉희. (2009). 조선시대 주택 꺽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5.0(6), 177-186. | 백선영, 전봉희. (2009). 1930년대 김종량의 H자형 한일절충식 도시주택. 건축역사연구, 18.0(5), nan. | 이규철, 전봉희. (2009). 개화기 근대적 도량형의 도입과 척도단위의 변화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5.0(11), 227-236. | 주상훈, 전봉희. (2009). 1911년에서 1924년 관립 중등 교육시설의 본관 계획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5.0(11), 169-180. | 김대일, 권용찬, 전봉희. (2009). 1950년대 서울지역 ‘간이한옥’의 조사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5.0(12), 231-242. | 전봉희, 권용찬. (2008). 원형적 공간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4.0(7), 181-192. | 이강민, 전봉희. (2008). 17세기 이후 북부 베트남 마을전각의 전당모델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4.0(12), 149-160. | 전봉희, 김지홍. (2007). 중국계 숍하우스와 비교를 통한 베트남 냐옹의 특수성 고찰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3.0(11), 211-222. | 이강민, 전봉희. (2007). 베트남 목구조의 두 가지 전통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3.0(11), 199-210. | 이우종, 전봉희 . (2006). 한국 주심포계 공포의 첨차에 나타나는 초각의 기원 제고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2.0(2), 119-129. | 이경아, 전봉희 . (2006). 1920-30년대 경성부의 문화주택지 개발에 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2.0(3), 191-200. | 이우종, 전봉희. (2006). 평방사용의 기원과 발달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2.0(5), 163-174. | 전봉희, 이경아, 주상훈. (2006). 다락과 중정으로 본 하노이 도시주택의 지속과 변용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2.0(11), 241-252. | 전봉희. (2005). 북한지역 건축유적의 지역적 전통과 시기적 변천 시론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1.0(8), 107-118. | 이경아, 전봉희 . (2005). 1920년대 일본의 문화주택에 대한 고찰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1.0(8), 97-106. | 전봉희, 우동선, 이우종. (2004). 한국의 건축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20.0(3), 99-108. | 박철진, 전봉희. (2002).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 한옥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평면계획의 특성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18.0(7), 95-106. | 전봉희, 우동선, 이경아. (2001). 북경 사합원의 현재적 변용에 관한 조사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17.0(3), nan. | 조재모, 전봉희. (2000). 고종조 경복궁 중건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16.0(4), nan. | 카지카와 아키히로, 전봉희 . (2000). 한국과 중국의 종묘건축제도에 대한 비교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16.0(8), nan. | 전봉희. (2000). 진도 세등리의 정주형태에 대한 조사연구. 지방사와 지방문화, nan(nan), nan. | 전봉희, 이우종. (2000). 단층불전 내주의 결구 및 배열방식에 관한 연구. 문화재, 33.0(nan), nan. | 전봉희. (1998). 전남 보성 강골마을의 정주형태에 대한 조사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14.0(4), 165-175. | 전봉희. (1998). 전남 보성지역의 凹자형 주거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, 14.0(8), 163-174. | 전봉희. (1996). 조선후기 주거사에 있어서 겹집화 현상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12.0(10), 95-105. | 전봉희. (1996). 해남윤씨가의 주택경영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12.0(11), 193-201. | 전봉희. (1994). 모정의 분포적 특성과 역사적 전개. 문화재, 27.0(nan), nan. | 전봉희. (1994). 전남지역의 모정건축에 관한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10.0(5), nan. | 전봉희, 이광노. (1991).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건축적 특수성 연구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7.0(5), nan. | 전봉희. (1989). 동족부락의 건축사적 연구(1).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5.0(6), nan. |
|